2018-05-06

Facts: 파워큐브 충전기 (이동형충전기)



O 이동형 충전기 사양은:
  - 최대 충전전력: 3kW   (220V, 13.6 A?)
  - 계량기 내장
  - 서버와의 통신
  - 비용: 서비스이용료: 11,000원 (VAT포함), kWh 충전료(한전 자가소비요금)
  - 콘센트에  부착된 RFID 를 태깅하면 충전기가 작동하고 에서 계량이 된다.

O RFID 가 부착된 콘센트에 차단기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나?

O RFID 부착 콘센트의 모자 분리 계량은 어떻게 하는가?



등록된 승용차를 모두 EV로 바꾸면: 추가 발전량은?



- 국내 자동차 등록 대수: 2253만대 (2017.12), 2180만대 (2016.12)
Source: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57

- 연간 평균 주행거리: 39.7 km/일 x 365일 = 14,490 km/년  (2016년)
Source: http://stat.molit.go.kr/portal/cate/statView.do?hRsId=507&hFormId=5888&hDivEng=&month_yn=
Source: http://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 EV 평균 전비: 5.5 km/kWh

O 연간 필요 전력량 (2017 년 차량대수 기준) :
    = 주행거리 (km/년) / 전비 (km/kWh) x 총 대수
    = 14490 km/년 / 5.5 km/kWh x 22,530,000 대
    = 59,356,309,090 kWh
    => 59,356 GWh

O 연간 필요 전력량 (2016 년 차량대수 기준) :
    = 주행거리 (km/년) / 전비 (km/kWh) x 총 대수
    = 14490 km/년 / 5.5 km/kWh x 21,800,000 대
    = 2,634.54 kWh x 21,800,000 대
    = 57,433,090,909 kWh
    => 57,433 GWh        (/8760 = 6.56 GW)

O 연간 총 발전량 대비 추가 발전량? (2016 기준)

  - 57,433/ (560,986 +57,433) = 9.29%


2016년 총 발전량:  560,985 GWh (2016 한국전력통계, 2017.6.)
1인당 전력소비량:  9,699 kWh/인/년
2016년 설비용량:  109,789 MW
2016년 최대전력:  85,183 MW

Source: https://home.kepco.co.kr/kepco/KO/ntcob/list.do?boardCd=BRD_000099&menuCd=FN05030103
Source: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4102

O 최대 전력 대비 추가 전력 (동시 충전)?
 - OBC 필요전력 7kW (6.6kW / 0.95)
 - (100% 동시)  21,800,000 대 x 7kW = 152,600,000 kW => 152.6 GW
 - (주 7회) 21.8 GW
 - (24시간마다)  6.35 GW

EV 충전요금 (한국전력)



(2017. 1. 1. 시행)

전기자동차 충전전력요금 (자가 소비할 경우)

- 차의 OBC를 사용할떄 보통 계약전력 7kW의 저압 요금을 낸다.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에 따른 전기 자동차(단, 이륜자동차는 제외) 충전설비
전기자동차 충전전력
구분기본요금
(원/kW)
전력량 요금(원/kWh)
시간대여름철봄·가을철겨울철
자가소비
저압
2,390
경부하
57.6
58.7
80.7
중간부하
145.3
70.5
128.2
최대부하
232.5
75.4
190.8
고압
2,580
경부하
52.5
53.5
69.9
중간부하
110.7
64.3
101.0
최대부하
163.7
68.2
138.8

(한전에서 구입해서 충전기에서 다시 팔때)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2조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따른 전기차충전서비스 제공사업자의 전기자동차에 해당하는 충전설비

전기자동차 충전전력
구분기본요금
(원/kW)
전력량 요금(원/kWh)
시간대여름철봄·가을철겨울철
선택Ⅰ
저압
2,390
경부하
69.2
58.7
83.9
중간부하
135.5
70.5
116.4
최대부하
176.8
75.4
145.3
고압
2,580
경부하
63.1
53.5
72.7
중간부하
103.2
64.3
91.7
최대부하
124.5
68.2
105.7
선택Ⅱ
저압
2,390
경부하
56.4
58.7
79.1
중간부하
113.3
70.5
100.0
최대부하
244.1
75.4
200.3
고압
2,580
경부하
51.5
53.5
68.5
중간부하
86.3
64.3
78.8
최대부하
171.9
68.2
145.7
선택Ⅲ
저압
2,390
경부하
63.4
58.7
88.8
중간부하
111.9
70.5
98.7
최대부하
209.3
75.4
171.7
고압
2,580
경부하
57.8
53.5
76.9
중간부하
85.2
64.3
77.8
최대부하
147.3
68.2
124.9
선택Ⅳ
저압
2,390
계절별
단일단가
145.3
70.5
128.2
고압
2,580
110.7
64.3
101.0

선택요금제도

선택요금제도
구분내용
선택(I)
기본요금이 낮고 전력량요금이 높으므로 전기사용시간(설비가동률)이
월200시간 이하인 고객에게 유리
선택(Ⅱ)
전기사용시간(설비가동률)이
월200시간 초과 500시간 이하인 고객에게 유리
선택(Ⅲ)
기본요금이 높고 전력량요금이 낮으므로 전기사용시간(설비가동률)이
월 500시간 초과인 고객에게 유리

전압구분

전압구분
구분적용범위
저압
표준전압 220V, 380V 고객
고압A
표준전압 3,300V 이상 66,000V 이하 고객
고압B
표준전압 154,000V 고객
고압C
표준전압 345,000V 이상 고객

계절별 시간대별 구분

  • 1.일반용전력(갑)Ⅱ, 산업용전력(갑)Ⅱ, 일반용전력(을), 산업용전력(을), 교육용전력(을)
계절별 시간대별 구분
구분여름철
(6월~8월)
봄·가을철
(3월~5월,9월~10월)
겨울철
(11월~2월)
경부하
23:00∼09:00
23:00∼09:00
23:00∼09:00
중간부하
09:00∼10:00
12:00∼13:00
17:00∼23:00
09:00∼10:00
12:00~13:00
17:00~23:00
09:00∼10:00
12:00∼17:00
20:00∼22:00
최대부하
10:00∼12:00
13:00∼17:00
10:00∼12:00
13:00~17:00
10:00∼12:00
17:00∼20:00
22:00∼23:00
  • 다만, 1. 공휴일의 최대수요전력 및 사용전력량은 경부하시간대에 계량하고, 공휴일이 아닌 토요일
              최대부하시간대의 사용전력량은 중간부하시간대에 계량합니다.
           2. 요금적용전력은 중간부하시간대와 최대부하시간대의 최대수요전력 중 큰 것을 대상으로
              하여 제68조(요금적용전력의 결정)에 따라 산정합니다.
           3. 제1호의 공휴일이라 함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정한 공휴일을 말합니다. 이
              경우 정부에서 수시로 지정하는 임시공휴일은 제외합니다.


Source: http://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E/E/CYEEHP00108.jsp

220V 돼지코 콘센트의 전류 용량은?




- 보통 벽에 설치된 콘센트의 규격은 250 V 16 A (보통 콘센트 규격 참조).
- 콘센트 하나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류는 최대 16A 이므로 15A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따라서 콘센트에 연결된 전선도 필요한 전류에 맞추어서 1.5 mm^2 이상의 전선을 사용 하여야 한다. (KS IEC 60364 참조)





Source: www.legrand.co.kr/Admin/Down.asp?filename=2014_종합카다로그.pdf





Source: